google-site-verification: google040505ab43bd08e9.html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 소개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 소개

320x100
728x90
SMALL

✊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 소개


🔹 어떤 날인가요?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은 1987년 6월 10일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된 ‘6월 민주항쟁’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항쟁은 군부독재 종식과 대통령 직선제 쟁취를 이뤄낸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으로 평가받습니다.

📅 기념일 제정: 2007년 「6월민주항쟁계승및국가기념일지정에관한법률」에 따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됨


🔹 왜 일어났을까?

1. 시대 배경

  • 1980년대 중반, 전두환 정권은 유신헌법을 계승한 간접선거 방식(체육관 선거)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 국민들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했지만,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4·13 호헌조치(현행 헌법 유지 선언)를 발표했습니다.

2. 도화선이 된 사건

  •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년 1월, 서울대 학생 박종철이 경찰 고문으로 숨진 사건이 발생.
  • 정부는 이를 축소·은폐했으나 언론과 국민의 분노가 거세졌고, 시민사회 전체가 들끓기 시작했습니다.

🔹 6월 10일 무슨 일이 있었나요?

  • 1987년 6월 10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호헌 철폐’와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동시에 벌어졌습니다.
  • 명동성당, 서울역 등에서 대학생, 노동자, 종교인, 일반 시민이 함께 참여해 ‘국민운동’ 수준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이후 6월 말까지 약 500만 명 이상 참여하며 전국적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 결과: 1987년 6월 29일, 노태우의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 수용, 국민의 요구 일부 수용


🔹 민주항쟁의 의의

항목의미
정치 대통령 직선제 부활, 헌법 개정으로 정치 개혁
사회 시민운동과 언론 자유 확대, 인권 인식 강화
역사 광주민주화운동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로 자리매김
 

🔹 2025년 6월 10일 행사 정보

  • 주관: 국가보훈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주요 행사:
    •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기념식 및 추모 문화제
    • 박종철 열사 추모제, 민주화유공자 추도 행사
    • 민주항쟁 관련 다큐 상영, 전시회, 시민참여 프로그램 등

🔹 우리가 할 수 있는 기억 방법

  • 민주인사 묘역, 관련 전시관 방문
  • 영화 🎞️ 1987 시청
  • SNS에 민주화의 가치 공유
  • 아이들과 함께 자유와 책임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320x10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