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728x90
SMALL
✊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 소개
🔹 어떤 날인가요?
6월 10일 민주항쟁 기념일은 1987년 6월 10일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된 ‘6월 민주항쟁’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항쟁은 군부독재 종식과 대통령 직선제 쟁취를 이뤄낸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으로 평가받습니다.
📅 기념일 제정: 2007년 「6월민주항쟁계승및국가기념일지정에관한법률」에 따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됨
🔹 왜 일어났을까?
1. 시대 배경
- 1980년대 중반, 전두환 정권은 유신헌법을 계승한 간접선거 방식(체육관 선거)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 국민들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했지만,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4·13 호헌조치(현행 헌법 유지 선언)를 발표했습니다.
2. 도화선이 된 사건
-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년 1월, 서울대 학생 박종철이 경찰 고문으로 숨진 사건이 발생.
- 정부는 이를 축소·은폐했으나 언론과 국민의 분노가 거세졌고, 시민사회 전체가 들끓기 시작했습니다.
🔹 6월 10일 무슨 일이 있었나요?
- 1987년 6월 10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호헌 철폐’와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동시에 벌어졌습니다.
- 명동성당, 서울역 등에서 대학생, 노동자, 종교인, 일반 시민이 함께 참여해 ‘국민운동’ 수준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이후 6월 말까지 약 500만 명 이상 참여하며 전국적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 결과: 1987년 6월 29일, 노태우의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 수용, 국민의 요구 일부 수용
🔹 민주항쟁의 의의
항목의미
정치 | 대통령 직선제 부활, 헌법 개정으로 정치 개혁 |
사회 | 시민운동과 언론 자유 확대, 인권 인식 강화 |
역사 | 광주민주화운동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로 자리매김 |
🔹 2025년 6월 10일 행사 정보
- 주관: 국가보훈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주요 행사:
-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기념식 및 추모 문화제
- 박종철 열사 추모제, 민주화유공자 추도 행사
- 민주항쟁 관련 다큐 상영, 전시회, 시민참여 프로그램 등
🔹 우리가 할 수 있는 기억 방법
- 민주인사 묘역, 관련 전시관 방문
- 영화 🎞️ 1987 시청
- SNS에 민주화의 가치 공유
- 아이들과 함께 자유와 책임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320x100
728x90
LIST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운 날씨에 스트레스해소 방법 소개 (326) | 2025.06.13 |
---|---|
‘진짜 일꾼 찾기 프로젝트(공직자 국민추천제) (289) | 2025.06.11 |
청와대 국민 품으로 예약시스템 (279) | 2025.06.09 |
무더위 속 우리 몸에 필요한 ‘물’의 양 (299) | 2025.06.07 |
무더위 속 우리 몸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 (336)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