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집중호우 대비 가정용 안전 수칙
한기박
2025. 6. 20. 22:39
320x100
728x90
SMALL
🌧️ 집중호우 대비 가정용 안전 수칙
✅ 1. 사전 준비
- 기상 정보 확인: TV, 라디오,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기상청의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세요.
- 비상 물품 준비:
- 손전등, 건전지, 휴대용 라디오
- 생수, 즉석식품, 비상약품
- 휴대폰 보조배터리
- 우비, 방수포, 여벌의 옷
- 비상 대피로 점검: 집 주변의 대피 장소(학교, 주민센터 등)와 경로를 미리 확인해두세요.
- 가전제품 안전: 침수 위험이 있는 곳의 전기코드는 미리 뽑고, 가전제품은 높은 곳으로 옮겨주세요.
🏠 2. 주택별 대비 방법
- 저지대 주택:
-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문 앞에 설치
- 하수구 역류 방지를 위한 덮개 준비
- 하수구와 배수구 주변 낙엽·쓰레기 제거
- 아파트 거주자:
- 지하주차장 차량 침수 대비, 미리 차량 이동
- 엘리베이터 사용 주의 (정전이나 침수 위험)
- 옥상 누수 점검: 미리 방수 상태 확인하고 배수로를 청소하세요.
🚨 3. 집중호우 중 행동 요령
- 외출 자제: 불필요한 외출을 삼가고, 운전 시 침수도로를 피해 이동합니다.
- 전기·가스 차단: 침수 가능성이 있는 경우 사전에 차단하세요.
- 물 빠짐 확인: 비가 그친 후에도 하수구가 막히지 않았는지 수시로 점검하세요.
🧓 4. 어르신이나 거동이 불편한 가족을 위한 주의
- 이웃과 연락 유지: 비상 상황에 연락 가능한 이웃 또는 보호자와 연락망을 유지합니다.
- 대피 지원 준비: 휠체어, 보행 보조기구 등 대피에 필요한 장비를 가까이 두세요.
📱 5. 비상 연락망 및 신고처
- 📞 119: 구조 요청
- 📞 112: 범죄 신고
- 📞 120: 지방자치단체 민원 콜센터
- ✅ 안전디딤돌 앱: 재난 알림, 대피소 정보 제공
필요시 마을회관, 주민센터, 학교 체육관 등 임시대피소로 이동하며, 무리하지 말고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전에 준비하면 피해는 줄일 수 있습니다!"
320x10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