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 사용법
①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깁시다.
② 손잡이 부분의 안전핀을 뽑아 주세요.
③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쪽으로 향하게 합시다.
④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뿌립시다.
⑤ 소화기는 잘 보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곳에 두되 햇빛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 소화전 사용법
① 먼저 소화전함의 문을 열고 노즐(물을 뿌리는 부분, 관창이라고도 부름)과 호스(수관)를 꺼낸 후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길게 펴주고 불이 난 곳까지 다가갑니다.
② 물을 쏠 준비가 되었으면 개폐밸브를 돌려 물이 나오도록 합니다.
③ 호스(수관)에 물이 차서 나오는 것이 확인되면 노즐의 끝부분을 돌려서 분무(안개) 또는 직선으로 불을 향해 쏩니다.
◯ 투척용 소화기 사용법
투척용 소화기란, 화재가 발생한곳에 던져서 불을 끄는 소화기를 말합니다.
① 설치된 곳으로 가서 커버를 벗긴다
② 소화기를 꺼낸다
③ 불을 향해 소화기를 던진다.
- 불이 난 곳의 벽 또는 바닥에 던진다. 불속에 직접 던지지 않는다.
- 타는 물건이 목재 등 딱딱한 것일 경우에는 불속 목재에 직접 던진다.
◯ 화재신고 방법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릅니다.
불이 난 것을 말합니다.
화재의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합니다.
(우리집 주방에 불이 났어요. 2층 집이예요)
주소를 알려 줍니다.
(○○구 ○○동 ○○○번지예요 / ○○초등학교 뒤 쪽이에요)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맙시다.
휴대전화의 경우, 사용 제한된 전화나 개통이 안 된 전화도 긴급신고가 가능합니다.
※ 119는 화재신고는 물론 인명구조, 응급환자이송 등을 요청하는 번호입니다.
◯경보설비 사용방법
경보설비는 화재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 화재발생 초기 단계에서 발생되는 열분해 생성물, 연기 또는 열을 발견하여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장치로 화재발생을 통보하고 신속한 피난을 위해 건물 내에 있는 사람에게 경보를 보내는 설비.
①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립시다.
②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릅시다.- 경보버턴의 유리가 깨지게 강하게 누른다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3) | 2024.02.08 |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5) | 2024.02.08 |
2024년주야간평가37 관절구축예방 (6) | 2024.02.06 |
2024년주야간평가37 욕창예방 (8) | 2024.02.06 |
2024년 주야간평가37(배변도움) (7) | 2024.02.06 |